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KT가 근속년수 15년차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별명예퇴직을 시행하기로 했답니다. <BR><BR>관련 기사 : KT, 15년 이상 사원대상 특별 명퇴 시행<BR><BR>원래는 20년 이상 근속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던 제도인데요. 이번 4분기에만 한해 15년차 이상을 대상으로 포함하게 됐다고 합니다. <BR><BR>그런데 다소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이번 안을 노조에서 강력하게 사측에 요청했다는 거죠. 보통 이런거는 사측에서 노조에 요청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. <BR><BR>특히나 직원이 경쟁사에 비해 많은 KT로서는 말이죠. <BR>KT는 직원수만 3만8천명입니다. 최대 경쟁자인 SK텔레콤의 직원수는 4500명 수준입니다. 유선 자회사인 SK브로드밴드를 합쳐도 겨우 5천명 수준입니다. <BR><BR>김구현 노조위원장은 이번 특별명퇴와 관련해 "조합원의 요구가 갈수록 거세지는 상황에서 1년 가까이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"며 "노동조합으로서 특별명퇴를 요청하는 일이 큰 부담인 것은 사실이지만 퇴직을 희망하는 조합원들에게 새 길을 열어준다는 측면에서 고심 끝에 결정했다"고 심정을 밝혔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여전히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. <BR><BR>조합원의 요구가 갈수록 거세졌다? 그럼 15~20년차 사이의 많은 직원들이 요구를 했다는 얘기인데. 요즘같이 경기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안정된 직장을 떨쳐내고 나가겠다니요. 조건은 기준임금 1년치를 추가로 지급하는 거라고 합니다. <BR><BR>15년차면 40대 초중반일텐데요. 애들키우고 교육비다 뭐다해서 돈 제일 많이 들어갈때입니다. 목돈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직장이 가장 중요할 때 아닌가요? 참고로 KT의 평균 근속년수는 무려 20년에 육박합니다. 전 산업계에서 최고 수준입니다. 한 때 직원수도 7만명에 달했습니다. 물론, 과거에는 공기업이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합니다. <BR><BR>여튼 KT는 공식적인 보도자료를 통해 "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개혁과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직원들에게 제2의 인생설계 기회를 주는 게 직원과 회사에게 모두 이익이라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흠. 갈수록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. 적어도 한 직장에서 15년 근무한 직원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? 물론, KTF와 합병하면서 전략이나 임원들이 바뀌었지만 여전히 사내 CIC 제도로 영역이 구분돼있고, 10년이 넘어가면 베테랑 소리를 듣는데 적응을 문제삼는다는 것은 잘 이해가 되질 않는 군요. <BR><BR>속사정은 잘 모르겠지만 어차피 나가야 된다면 좋은 조건으로 나가는게 좋을 수 있다는 계산이 작용하지는 않았을까요? 물론 제 추측입니다. <BR><BR>한가지 분명한 것은 KT 경영진은 여전히 직원수를 줄이고 싶어한다는 겁니다. KT나 SK텔레콤 앞에 흔히 수식어로 '공룡'이라는 단어가 붙는데 의미는 다소 다릅니다. <BR><BR>KT는 거대한 덩치를 의미하고, SKT는 포식자를 의미합니다. KT도 덩치만 큰 공룡이 아니라 과거처럼 진정한 지배자가 되고 싶겠죠. <BR><BR>여튼 이번 명퇴로 사측이 기대하는 조직에 대한 신규채용 확대, 조직의 활력 부여나 명퇴를 신청하는 분들의 새로운 인생이 다 잘됐으면 좋겠습니다. 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